Yun, Woo Seung

한 무리의 물고기가 어디론가 쏜살같이 달음질친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닐텐데 퍼레이드를 하듯이 줄을 지어 가는 모습이 마치 초지를 찾아 수천킬로를 여행하는 세렝게티의 물소떼처럼 장관을 이룬다. 까맣게 모여든 물고기떼는 곡예를 하듯 큰 원을 그리며 나선형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소용돌이치듯 가운데로 몰려들기도 한다. 하지만 대체로 물고기들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질러 간다. 일사불란한 행진과 속도감, 수천마리의 물고기 무리는 보는 것만으로도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그들은 깊은 바다속을 누비며 그야말로 발길 닿는 대로 이곳저곳을 탐사한다. 윤우승의 심해풍경을 보고 있자면 마치 잠수부가 되어 바다를 누비는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어둑어둑한 바다속을 가르는 은빛 물고기가 묘한 감흥을 일으킨다. 그런데 이 지점에서 우리가 보는 것이 단지 그것의 재현에 있는지, 아니면 그외에 또다른 의미가 있는지 물음을 던지게 된다. 대체로 우리가 그림을 감상할 때 미술관을 직접 찾지 않고 인쇄된 사진으로 접할 때가 많다. 원작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통한 간접 경험인 동시에 인쇄된 도판을 보고 실물을 보았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유명인을 사진으로 보고 직접 만났다고 착각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인쇄물이나 도판으로 보아선 작품의 참맛을 느낄 수 없다. 윤우승의 그림이 꼭 그렇다. 카메라 렌즈가 잡아내지 못하는 미세한 부분이 그의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의 회화는 바다속 풍경을 모티브로 삼고 있는데 작품 자체가 모티브의 전달에만 매여 있는 것은 아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그림의 질'을 드러내는 데 각별히 유의하고 있기 때문에 감상자는 화면이 간직하고 있는 깊이감을 주의하여 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깊이감은 대체로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물고기의 '형상화 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표면처리과정'이다. 먼저 물고기의 형상화 과정을 살펴보면, 화면에 부표처럼 떠도는 물고기는 여느 작품의 묘사와 구별된다. 단순히 물고기 이미지를 그려넣은 것이 아니라 각 이미지들은 그야말로 산고의 과정을 거쳐 탄생한다. 작가는 이미지를 그린 다음 스프레이로 덮고 다시 그린 뒤 다시 스프레이로 덮은 과정을 반복한다. 대체로 이런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겹쳐진 물고기가 멀리 있거나 가까이 있는 것처럼 만드는 것이다. 표면처리과정은 물고기의 형상화 못지않게 큰 몫을 차지한다. 투명한 막을 입혀 그림을 명증하고 아취 있게 드러내는, 그만의 독특한 표면마감 테크닉이 그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단 형상화작업이 마무리되면 작가는 광택감과 보존성이 좋은 자동차 도료를 사용하여 표면감을 낸다.

 

 도장방식에 있어 그는 재래적인 방식, 즉 전통적인 옻칠을 동원한다. 옻칠이란 옛부터 내려오는 도장(塗裝)재료로 옻나무에서 얻은 투명한 수액을 전복껍질위에 붙이거나 아무것도 붙이지 않는 표면위에 덧칠을 한다. 잘 알다시피 옻칠은 표면의 번들거리는 광택효과뿐만 아니라 부식을 막는 보호재 구실을 겸하여 장롱이나 경대,문갑 등 가재도구에 요긴하게 사용해왔다. 그가 사용하는 재료는 이와는 다르지만 표면처리는 옻칠과 동일하다. 작가는 전통도장술을 이어받아 표면에서 자르르 윤기가 흐를 때까지 십여차례 칠작업을 계속한다. 칠하는 과정에서 생긴 흠집은 따로 메우거나 뭉친 부분은 사포질을 하여 매끈하게 펴준다. 그 후에는 메탈 폴리쉬를 이용하여 속칭 '물페빠질'이라고 불리는 광택의 과정을 거친다. 고운 입자의 사포에 물을 섞어 티를 갈아내는 동시에 반질반질한 표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 비법을 배우기 위해 작가는 가구공장의 직원으로 들어가 이 기법을 익혔다고 한다. 나무를 가공할 때 사용하는 주칠 기법을 요긴하게 써먹게 될 줄을 누가 알았겠는가.

 

 그의 그림은 군더더기가 없이 매끈하고 감각적이지만 작업방식은 전통적이고 보수적이다. 이미 케케묵어 시효를 다했다고 생각하는 전통문화가 그의 작품을 통해 참신하고 현대적으로 되살아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의 작품은 Life+Fish의 합성어인 <라이피쉬>란 타이틀을 갖고 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물속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자연의 편안함이 그대로 묻어난 듯한 몽환적 신비함을 통해 고요한 명상의 세계와 초자연적 이미지가 일으키는 치유와 위안의 세계를 전달한다. 고요와 명상을 환기시키는 이미지를 통해 보는 사람에게 쉼과 평화로움을 선사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깊은 내면의 시간흔적들을 화면에 담아내면서 물고기에 얽힌 자신의 삶의 경험들을 농밀하게 표출하고 있다. 앞에서 우리는 그의 작품이 카메라 렌즈로 포착되지 않는 그 무엇을 간직하고 있다고 했다. 표면의 도장이 바로 오묘한 표정을 만들어내고 있는데 작가에 따르면 이 과정을 통해 "물기를 머금은 촉촉한 느낌"을 부여하게 된다고 말한다. 수성의 아크릭과 유성의 도료가 만나 절묘한 조화를 이루면서 마치 깊은 바다속을 들여다보는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촉촉한 느낌, 탱글탱글한 표면감, 아스라함, 고즈넉함같은 것은 아무리 성능좋은 카메라라도 도저히 흉내를 내거나 따라잡을 수 없다. 그런 내밀함은 단 하나 수제(手製)의 그림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손이 먼저인가 기계장치가 먼저인가 우위를 따진다면 필자는 단 1초도 망설일 필요없이 손의 편을 들 것이다. 그의 그림은 자신의 손을 거치지 않고는 아무 것도 손쉽게 통과하는 것이 없다. 밑바탕 작업에서 광택작업까지 철저한 손작업과 한치 오차도 허용치 않는 장인적 완벽성, 게다가 예술적 감각을 곁들여 답설무흔(踏雪無痕), 즉 눈을 밟아도 흔적을 남기지 않는 고수의 경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가 이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몇 년밖에 되지 않지만 그전에 충분한 준비기간을 거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 발표했던 생물적인 이미지위에 도장을 한 작업(2000년), 갈치를 알미늄으로 떠낸 설치작업(2004)은 오늘과 같은 작업을 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이 종착지가 될지 경유지가 될지는 알 수 없지만 물고기 연작은 발상 자체가 독특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발전시킬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여긴다. 낚시꾼이 월척을 올릴 때의 의기양양한 기분처럼 그의 그림을 대하는 기분도 꼭 그런 마음이다.


윤우승, 답설무흔의 회화 - 서성록(한국미술평론가협 회장), 2010

Education
B.F.A in Painting, College of Fine Arts, Hong-ik University
Solo Exhibition
2013 Gallery Chungdam, Chungdo, Korea 
2009 Galerie Bhak, Seoul, Korea 
2005 Asto Gallery, L.A., USA 
2004 Noam Gallery, Seoul, Korea 
2002 Hyundai Department Store, Seoul, Korea 
2000 Gwangju Culture&Art Center, Gwanju, Korea 
1991 Chungnam Museum, Seoul, Korea
Group Exhibitions and Art Fairs
2018 Plastic Art Seoul/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Art Busan/ Galerie Bhak, BEXCO, Busan, Korea 
2017 KIAF 2017/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Usuyeong Village Culture Project, Busan, Korea 
Usuyeong Village Culture Project, Busan, Korea 
2016 Josu Biennale, Biotope Gallery, Jeju, Korea
Gallery Montmartre, Busan, Korea 
2015 LA Art Show 2015/ Galerie Bhak, LA, USA 
Karlsruhe Art Fair/ Art Park Gallery, Karlsruhe, Germany 
KIAF 2015/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ART TAIPEI 2015/ Artiside Gallery, Taipei 
2013 The 12th KIAF, Galerie Bhak, COEX, Seoul 
Asia Hotel Art Fair/ Galerie Bhak, Seoul, Korea 
Affordable Art Fair/ Galerie Bhak , Singapore 
2012 KCAF(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 Galerie Bhak,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The 11th KIAF/ Galerie Bhak, COEX, Seoul, Korea 
2010 Art Chicago/ Galerie Bhak, Merchandise Mart, Chicago, USA 
2009 KCAF(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IX, Galerie Bhak, Seul Art Center, Seoul, Korea 
2008 3 artists, 3 colors, Wooen Gallery, Seoul, Korea 
2007 Ushuaia Biennale, Ushuaia, Argentina Buenos Aires Art Festival, Buenos, Argentina
Buenos Aires Art Festival, Buenos, Argentina
학력
홍익대학교 회화과
개인전
2013 갤러리청담, 청도 
2009 박영덕화랑, 서울 
2005 Asto Gallery, L.A., 미국 
2004 노암갤러리, 서울 
2002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서울 
2000 남도예술회관, 광주 
1991 청남미술관, 서울
주요 그룹전 및 아트페어
2018 조형아트서울/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아트 부산/ 박영덕화랑, 벡스코, 부산 
2017 KIAF 2017/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우수영 마을 문화 프로젝트, 전남 해남 우수영 
 2016  조수비엔날레/ 비오톱갤러리, 제주 
          갤러리 몽마르뜨, 부산 
 2015  LA Art Show 2015/ 박영덕화랑, LA, 미국 
           칼슈르헤 아트페어/ 아트박 갤러리, 칼슈르헤, 독일 
           ART TAIPEI 2015/ 아트사이드갤러리, 대만 
 2014  화랑미술제/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2013  KIAF/ 박영덕화랑, 코엑스, 서울 
           아시아 호텔 아트페어/ 박영덕화랑, 서울 
           Affordable Art Fair/ 박영덕화랑, 싱가폴 
 2012  KCAF(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XII/ 박영덕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KIAF/ 박영덕화랑, 서울 
 2010  아트 시카고/ 박영덕화랑, Merchandise Mart, 시카고, 미국 
 2009  KCAF(Korean Contemporary Art Festival)IX/ 박영덕화랑, 예술의 전당, 서울 
 2008  3인 3색, 우언갤러리, 서울 
 2007  Ushuaia 비엔날레, Ushuaia,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트페스티벌,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04  국제교류전, Asto Gallery, LA, 미국 
 1989  제 5회 Independants, 국립현대미술관, 과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