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Mikyoung
CV
김미경, 최고의 기쁨

서성록 (안동대 미술학과교수)

김미경씨의 그림을 볼 때면 자연의 색깔을 잠시 퍼다 놓은 것같은 착각에 빠진다. 하늘처럼 파랗고 봉숭아꽃만큼이나 빨갛고 투명한 옥색 호수처럼 말갛고 따스한 봄날에 수줍게 핀 이파리처럼 앳된 연둣빛이 감돈다. 색깔로만 이런 기분을 자아낼 수 있게 만들었다니 마냥 신기할 따름이다. 이만하면 ‘유창한 칼라리스트’란 칭찬을 들을 만하다.
색깔은 화가들마다 관점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사용되어왔다.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칸딘스키는 색깔로 음악적 대위법을, 순례자와 같은 삶을 살았던 고흐는 지상의 존재에 대한 애착을, 표현주의자 프란츠 마르크는 내면의 불안을, 빛의 흐름에 심취하였던 라리오노트가 물리적 광선을 실어냈다면, 김미경은 ‘물댄 동산같은’ 영혼을 실어낸다. 그에게 색깔은 영혼과 심령의 상태를 시추하는 두레박이자 거울같은 매개물이다. 색깔을 매개로 작가는 눈에 보이는 세계 너머, 더 높은 단계의 세계로 이끈다.
내가 그의 작업에 관심을 갖는 것은 그의 작품이 보는 사람을 즐거이 맞아주는 것 같기 때문이다. 우중충한 비구름이 걷히고 저만치에 뜬 무지개처럼 색깔들이 함박 웃음을 지으며 감상자를 반긴다. 울적하거나 고단할 때 그의 작품을 보면 언제 그랬냐는 듯이 획 달아난다. 그의 작품의 매력은 환희와 기쁨이 우리 자신 바로 곁에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는 데에 있다. 그래서인지 그의 그림을 보면 잠시 딴 세상에 와 있는 기분마저 든다. 눈물과 비탄, 불안과는 대조적으로 찬미가 울려 퍼지고 아름다움으로 눈부신 평화스런 세상 말이다. 그림 속의 가상에 불과하지만 그런 착각에 사로잡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
말쑥한 표정 작가는 그간 강렬한 원색의 물결, 거친 호흡의 갈필, 그리고 자연의 아름다움을 화폭에 담아왔다. 떠들썩한 미술계의 시류에 간섭받지 않고 자신의 회화세계만을 확고하게 지켜왔는데 조그마한 체구에서 어떻게 그런 강단이 나왔는지 신기하다. 그의 스튜디오를 찾아 근래 관심을 물었더니 “종래에는 큰 풍경을 보았다면 근래에는 작은 것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자연을 추상적으로 인식하던데서 하나하나의 존재에 대해 경이감을 갖고 바라보게 되었다는 뜻이다. 나이를 먹으면서 내 주변에 가까이 있는 것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게 되었다는 뜻이리라. 그렇다. 하나하나의 존재를 가까이 할수록 애정을 갖게 되며 크기와 외모와 상관없이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몸으로 체험되는 소중함과 막연히 머릿속으로 중요하겠거니 상상하는 소중함은 엄청난 차이를 갖는다. 몸으로 체험되는 소중함은 김미경씨의 작품에서 보듯이 ‘사랑스러운 존재’로 등장할 수밖에 없다. 그의 작품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일종의 순화된 정서라고 할 수 있다. 울창한 숲을 보듯이, 아니 그 숲에 들어갔을 때 상큼한 향기를 맛볼 수 있듯이 그런 청아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시름을 잊고 답답한 마음을 풀 수 있으며 한편으로 편안하고도 유쾌한 기분을 갖게 한다.
그의 그림을 보면, 어느 한 구석 소홀한 데가 없다. 공간을 점유하는 색채와 그 주위의 바탕이 잘 어우러져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정도 말쑥하다. 푸릇한 잔디로 곱게 옷 입은 들판 혹은 수줍은 소녀처럼 뺨에 홍조를 띤 가을산을 떠올리게 한다. 주위 공간은 색채를 떠받치고 또 바탕의 색깔은 액체와 같은 색채 덩어리를 어질게 감싸 안는다. 산과 하늘이 하나가 되고 바람과 나무가 하나가 되듯이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서로 손을 내밀며 품앗이를 한다.
의도된 것이긴 하나 손끝에서 나오는 자잘한 테크닉을 피하고 공간 전체를 기탄없이 ‘통 크게’ 경영한다. 극도의 자연스러움이 물 속에서 뛰노는 물고기처럼 사각의 공간 안을 유영하고 있다. 이것은 작가가 작위와 무작위를 절묘하게 혼용하는 데서 귀결된 결과로 보인다. 가령 중앙의 색채 덩어리는 무작위적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그의 작업 방식은 독특한 데가 있다. 털펜타인과 혼합된 안료를 캔버스에 올려놓고 손으로 화면의 상하, 좌우로 높낮이를 달리해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캔버스 위의 안료는 상하, 좌우의 높낮이에 따라 흘러내리게 되고, 작가는 그 흘러내림과 함께 번지기, 덧붙임을 추가하여 다양한 표정을 얻어낸다. 옅은 물감 사이로 보이는 작은 안료 입자들, 그런가 하면 그 주위를 에워싸는 접착력 있는 리퀴드의 포용력은 쉽게 흉내낼 수 없는 효과를 자아낸다. ‘색에 대한 민감성’은 그의 작품에서 자랑할만한 부분이다. 그의 작업은 미리 형태를 완전히 잡아놓고 진행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대강의 윤곽이 잡히면 색깔을 선정하고 그때 그때의 미적인 감정에 따라 작업을 불쑥 개시한다. 원하는 색을 입히고 그 위에 더 채도높은 색을 올린다. 색을 무덤덤하게 올리는 것같지만 사실은 보자기에 감추인 마음의 빛을 풀어놓는 것과 같다. 그가 전달하려는 것은 가슴 벅찬 순간, 환호를 지를 때의 순간처럼 어떤 것에 크게 감동되었을 때의 마음상태인 것이다. 그렇게 탄생된 촘촘하고 상쾌한 미적인 감정의 결, 그것의 유속은 느리며 속이 훤히 들여다보일 정도로 투명하고 시원스럽다. 색의 사용은 아주 우연한 기회에 시작되었다고 한다. 강릉에서 강의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그는 시골길에서 인상깊은 광경을 목격한다. 파란하늘에 까치밥으로 남겨놓은 분홍색 감을 보고 너무 예쁜 나머지 그 감흥을 못 잊어 색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자연의 고운 빛에 그만 연민의 정을 느끼게 된 것이다. 그 이후로 색깔과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가 되고 말았다. 근 20년 간 작가는 색깔과 그것의 변주를 연구해왔다. 색깔이라면 일가견을 지닌 사람이다. 그러던 중 몇 년전부터 재료를 안료(피그먼트)로 바꾸고 털펜타인의 효과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지금과 같이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여전히 외곽은 두툼한 질감효과가 좋은 오일로 착색한다)

김미경씨와 대화를 나누던 중 순도높은 색을 사용하게 된 모종의 계기가 있냐고 물었다. 그랬더니 아마 근래의 환경변화와 관련이 있지 않겠느냐는 답변이 돌아왔다. 사실 작가는 오랜 서울생활을 마무리짓고 2004년 경기도의 오포로 작업실을 옮겼다. 그의 작업실이 있는 오포는 분당과 인접한 지역이기는 하나 주위는 시골에 가깝다. 무성한 숲으로 둘러싸여 있고 새소리, 각종 들풀들로 우거져 있다. 발걸음을 몇 발자욱만 옮겨도 깊은 산골이 나온다. 작가는 말하기를 작업실 뜨락에서 자라나는 백합화와 대추나무, 매일 대하는 야생화와 무수한 잎새로 치렁치렁한 넝쿨 등을 접촉하면서 그의 작업에도 생기가 돌기 시작했다고 한다. 작가는 회색빛이 감도는 도시를 탈출하면서부터 생기발랄한 자연속에서 제2의 시대를 열어갈 수 있게 된 셈이다. 오포로 옮겨온 후로 작품이 부쩍 젊어졌고 화사해졌다. 앞으로는 또 무슨 작업이 나올지 자신도 부픈 기대감이 든다고 한다.
기쁨의 열매 그의 작품은 설렘과 가슴 벅참, 희열 등 고조된 정서가 터질 듯 잔뜩 부풀어 있다. 그런 감정을 품어본 적이 없다면 이렇게 고감도의 미의식을 이해하기 힘들지도 모른다. 김미경씨에게 직접 물어보지는 않았지만 작가는 세상이 창조되고 창조주를 바라보며 기뻐하는 피조물들을 지켜보며 그들의 자태를 온 몸으로 전율하면서 그가 받은 감동을 신속하게 옮겨내지 않았나 싶다. 더 이상은 가능할 것같지 않은 고감도의 색깔, 틀에 갇히지 않은 고아한 모양, 그리고 심플하고도 박력있는 공간구성으로 그 찬란하고도 웅장한 창조계의 신비를 묘출한다. 창조세계를 통해 우리는 ‘신성의 표식’과 ‘영광의 불꽃’을 본다. 그래서 칼빈에 따르면, “우주를 정교하게 지으신 솜씨는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바라보도록 하는 일종의 거울이다”고 했다. 작가는 자연물을 단순한 생물조직 혹은 그림의 소재로 파악하는 대신 ‘신성의 공교로움’에 의해 빚어진 ‘살아있는 예술품’으로 파악한다.
이런 사실을 묵상할 때 우리는 적잖은 심적 흥분을 감출 수 없다. 사물을 건성으로 보거나 감흥없이 대하는 것만치 무의미할 때도 없기 때문이다. 그의 그림이 최고의 기쁨을 실어내고 있으며, 최고의 아름다운 노래 가락이 깃들어있다고 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작가는 아름다운 색깔을 영화로운 ‘신성의 표식’을 삼으려고 했을 수도 있고, 피조된 세계의 장관과 정교함을 보며 자신의 희열을 전달하려고 했을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주어진 것을 가지고 더 깊고 넓은 세계를 생각하는 것은 그가 해맑은 심령의 눈을 지녔다는 표시에 다름 아니다. 선홍빛 숭고함이나 묵직한 정신의 깊이같은 것은 그의 작품에서만 느낄 수 있는 고유한 미적 감정들이다.


Kim, Mi Kyoung, Pure Ecstacy

Seo, Seong Rok (Professor of the College of Art at Andong National University)

Kim, Mi Kyoung scoops up the colors of nature. She paints the deep blue color of the serene sky, the crimson red color of peach flowers, the jade green color of clear lakes, and the yellow green color of spring buds. It is pretty amazing that we can enjoy the beauty of nature only by looking at the colors in her works. Undoubtedly, she deserves to be called 'a competent colorist.' Artists have used colors in their own ways. For example, Wassily Kandinsky who was deeply versed in music regarded colors in paintings as counterpoint in music. Vincent Van Gogh who had lived like a pilgrim expressed his attachment for earthly existences with colors. Franz Marc who was an expressionist revealed anxiety in our minds through colors. Mikhail Fyodorovich Larionov who was infatuated in the flow of light described physical light beams with colors. On the other side, through colors, Kim, Mi Kyoung steps up to the spirit as bountiful as 'a well watered garden.' To her, colors are well buckets to draw up our spirits or mirrors to reflect on our minds. She sees beyond sight through the medium of colors. Her paintings give the viewers hearty welcomes like a colorful rainbow after a severe thunderstorm. They refresh the viewers who feel dull and gloomy. They make the viewers awake to the truth that the joy of life is always close to them. They disclose the viewers the other world filled with happiness, grace, and peace in contrast with the real world filled with sadness, frustrations, and uncertainty. The viewers are willing to savour momental pleasure under the illusion of the works of art.

Neat and clean look

Kim has covered the canvas with brilliant base colors, dry brush strokes, and beautiful Mother Nature. She does not have a magnificent physique, but she has a great tenacity to go her own way ignoring the unsteady trends of the art circle. I visited her studio and asked about her recent interests. "Once I saw wide landscapes, but now I can see the small parts, too." Her interests have moved from the abstract concepts to the concrete things. The older she was, the more she cherished the trivial things surrounding her. She gave a close look at tiny things and realized the truth that everything is valuable regardless of its size or appearance. She reveals 'the loved creatures' hidden around us, which she learned by experience. Her works of art purify our souls. They feel like the fresh air in a thick forest. They appease and refresh the viewers. The artist carefully weighs every small part of her paintings. The brilliant colors in the center harmonize with the sedate color in the background. They make a neat and clean look. They remind me of a green field covered with fresh grasses or a red mountain looking like a shy girl's cheek.  The main colors and their background perform a symphony in color. They embrace each other as the sky and mountains or the wind and trees. She intentionally avoids dexterous techniques and 'boldly' manages the whole canvas instead. The perfect naturalness of a fish swimming in current fills up the rectangle canvas. It results from the artist's clever mixing of spontaneity and artificiality. The lump of colorful pigments in the center is made up by the random process. The method is original with her. She puts the pigment mixed with turpentine in the center the canvas and moves it by hand upward and downward or from side to side. She also blots or adds the pigments. The lightly-painted pigment with some tiny particles is supported by the sticky liquid. It has an unique effect. Her sensitivity to colors should be highly praised. Actually, Mi Kyoung is not a deliberate planner. She only fixes up rough outlines and then selects colors off the cuff. She repeatedly paints over the canvas with much more brilliant colors. Her emotions are unfolded with colors. She shouts for joy. The beautiful riffles of emotion run so slow as to be easily seen through. She confessed that she began to take an interest in colors by chance. When she returned home after giving a lecture in Gangreung, a scarlet persimmon held her gaze on a countryside road. It was 'a ggachibab (a meal for magpie; the generous Korean farmers traditionally left a few of persimmons on the top of the tree as treats for magpies).' She was struck by the beautiful natural color, and after then she has been immersed in colors in earnest. Last 20 years, Kim has researched colors and their variations. Surely, she is expert in colors. She took up another challenge to colors a few years ago. She has changed the main material into pigments and maximized the effect of turpentine. (However, she still uses oil colors on the boundary of the canvas to make a thick texture background.) When I interviewed the artist, I asked about the reason why she recently used more brilliant base colors. She answered that she moved from the metropolitan Seoul to the rural area of Opo, Gyeonggi-do in 2004. Her studio is surrounded with a thick forest, chirping birds, and various herbs. After escaping from the grey city, she has been invigorated by both lilies and jujube trees in her small garden and wild flowers and leafy vines in front of the house. In the nature, the second act of her painting art just began. She feels younger and more energetic. She expects to accomplish better works in Opo for herself.

Fruits of delight Kim's canvases are brimming over with such emotions at high tide as hope, gratitude, and joy. It might be difficult for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powerful emotions to understand her keen aesthetic sense. She rapidly represents a thrill running through her veins as she watched the creatures admiring their creator. She successfully portrays the beauty and majesty of the divine world with heavenly but sensible colors, unconventional but graceful shapes, and simple but powerful compositions. We can discover 'the mark of sanctity' and 'the flame of glory' by looking at the creatures of the god. John Calvin said, "The exquisitely created world mirrors our god." Likewise, artists regard the nature not only as a living thing or an artistic object but also as 'an living work of art' which was gracefully made by the god. Therefore, we have to look at all the things around us more carefully. Mi Kyoung succeeds to feel the pure ecstasy in the nature. She tries to reproduce 'the mark of sanctity' with beautiful colors. Also, she expresses in awe the magnificent world that was exquisitely created by the god. She has so good spiritual eyes that she can see beyond sight. Her works exhibit the rare beauty of contemplation and loft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