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RENT PAST ONLINE
Umbermark 흙갈피
Yun Hyong-Keun 윤형근
Exhibition Period
2023.3.2 - 4.8
Exhibition Introduction

별다른 대상의 재현이나 장식이 없는 윤형근의 그림은 캔버스 위로 물감을 적신 붓이 지나간 흔적과 같다

유사하면서도 저마다 다른 붓자국의 형태는 윤형근이 물감을 오일(테레빈/ 린시드)에 풀어 어떻게 칠하고 말리기를 반복 하느냐에 따라 각기 형상화된 결과다.

 

일반적으로 윤형근의 작품 양식은 세가지로 설명된다. 먼저는, 70년대 초 활동 초기에 장인 김환기(1913-1974)의 화풍을 엿 볼 수 있는 색면 추상이고, 다음은, 70-80년대에 농도와 번짐이 강한 두세개의 기둥과 그 사이의 여백으로 구성된 천지문(天地門) 양식이고, 마지막은, 번짐은 절제되고 먹빛에 가까운 검은 기둥면이 강조된 90년대 작품이다이 단순한 조형 언어는 윤형근이 한결 같이 유지했던 양식으로서, 이는 작가가 구축한 고유한 화풍을 나타낼 뿐 아니라 작품과 결부된 화가의 인생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시각 요소다.

 

많은 화가들의 작품처럼 윤형근이 캔버스에 붓으로 그리던 그 무엇 역시 현실에 깊숙이 관여된 것이었다.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난 윤형근(1928-2007)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한국 근현대의 격동기에 청년 시절을 보냈다. 1947년 서울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국대안(국립대학교설립안)반대시위에 참가했다가 구류 조치 후 제적을 당했다.1950년 한국전쟁 발발 직후에는 학창시절 시위 전력(前歷)으로보도연맹에 끌려가 학살을 당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1956년에는 전쟁 중 피란 가지 못하고 서울에서 인민군의 강제 부역을 했다는 명목으로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한 바 있으며,  1973년에는 숙명여고 미술교사로 재직 중, 당대 중앙정보부장의 지원으로 부정 입학했던 학생의 비리를 따져 물었다가반공법 위반으로 잡혀가게 되었다

 

여러 번의 복역과 죽을 고비를 넘긴 윤형근은, 참혹하고 비극적인 현실 속에서 치미는 울분을 캔버스에 토로했던 것 같다.

 

형무소에서 나와서 이제껏 그렸던 그림들을 전부 부숴버리고,

독기를 내뿜었어요.

73년도부터 그림이 확 달라진 계기는 이런 이유에서에요

처음에는 원색인데 그 위에 덧그리니까 까맣게 되고,

아예 검게 만들어 버리고 싶어 울트라 마린하고 번트 엄버를 물하고 섞어 먹빛으로 그린 것이에요.”


내 작품 안에 청춘의 공백 같은 게 나타나 보일지 몰라요.

도망다니다 쫓겨 다니고 공포와 불안 속에서 살아남는 것만이 제일 큰 문제였지요.”


내 그림은 화려한 것과는 거리가 멀어요.

삶의 핵은 올바른 삶. 그 체험을 함축 시킨 것이 내 그림이죠.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그 체험에서 오는 어떤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듯이 그림도 거기에 따라 저절로 변해가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그림이라는 것은 삶의 체험에서 오는 하나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겠죠.”(2003)

 

윤형근은 하얀 캔버스 대신 누런 마포 천을 캔버스 삼아, 다색(Umber)과 청색(Ultramarine-Blue)을 땅과 하늘의 색이라 명명하며 그림에 끌어들였다

그는 작업실 바닥에 캔버스를 놓고 분풀이를 하듯 위에서 아래로 물감을 반복해서 그어댔다

그의 작품에 새겨진 흥건한 붓 자국은 흙 속에서 뻗어 나오는 절규 같기도, 아지랑이처럼 번진 붓 자국은 흐느끼는 울음 소리 같기도

화면을 가득 채운 검은 붓자국은 고통에서 마침내 해방된 침묵의 소리 같다.

 

이처럼, 윤형근의 붓질이 만든 흔적은 그가 걸어온 삶의 궤적을 보여준다. 그는 그림으로 당시의 현실에 저항하고 내면의 고통과 슬픔을 애도하였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윤형근이 세상을 바라보는 근원적인 시선에 바로 자연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십오육년 전 일이다. 오대산에 오른 일이 있다.

낙엽이 진 산협은 적막하기 짝이 없었다.

산허리에 가로누워 썩어가는 거목을 발견했다.

뿌리 쪽부터 흙으로 변해가는 그 광경을 한참동안 나는 넋 나간 사람처럼 바라보고 있었다. 그 얼마나 자연의 거룩함인가.

나는 그 광경을 보고 자연의 신비, 자연의 섭리를 새삼 깊은 감명에 잠겼던 일이 생각난다.”(1986)

 

윤형근은 땅에 뿌리를 내렸던 나무가 다시 흙으로 돌아가는 자연의 모습을 목도하며 자연의 신묘함과 영적인 깨달음을 체험하였고

이를 자신의 삶과 예술을 창조하기 위한 재료로서 사용하였다.

 

흙벽과 어우러지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던 윤형근의 말처럼,  

90년대에 제작된 작품은 땅으로 귀결하고자 하는 그의 예술의 핵심을 더욱 잘 드러낸다.

 

나는 내 보잘것없는 그림들이지만 그 그림들을 흙벽에 걸고 싶다.

그 흙벽에 잘 어울리는 그 무엇을 그려보고 싶다.

이 세상이 아무리 세월이 가도 영원히 아름다운 것은 흙과 나무와 돌이리라.(1990)

 

윤형근의 후기 작품에는 불기둥처럼 솟아 오르던 기둥들이 캔버스에 잠잠히 가라 앉은 모습이다

울분으로 얼룩져 있던 붓 자국, 땅과 하늘의 사이를 의미하는 천지문 구도는 거의 사라졌다

마포천 위에는 정제된 흑색 기둥만 존재한다

화면에 자연스레 스며든 흑색 기둥은 하늘과 땅의 경계를 흐리며 캔버스와 한 몸이 되어 지평선처럼 고요히 펼쳐져 있다.

 

마치 생을 다하고 자연으로 회귀하던 오대산의 나무 처럼. 말년의 윤형근의 그림에서는 고통, 슬픔과 같은 불순물은 승화되고 거룩함이 흐르는 듯하다

이러한 조형 언어는 윤형근이 그의 일생을 마무리하며 또한 완성하는 단계로 진입하는 가운데 삶의 마지막 장면을 그리기 시작했기 때문인 것 같다

그렇게 윤형근의 그림이 주는 마지막 인상은 시작과 끝, 탄생과 소멸이 있는 땅의 영역으로 들어서는 모습이다.

 

잔소리를 싹 빼고 외마디 비명을 지르는 그림”. 이 말은 윤형근이 생전 인터뷰에서 자신의 그림을 평가한 내용으로, 자신의 그림과 대조적으로 장인 김환기의 그림은  “잔소리가 많고 하늘에서 노니는 그림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윤형근의 삶과 예술이 뿌리 내리고 있는 곳은 하늘이 아니라으로 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게 땅은 물리적, 정신적 대상으로서 다중적인 장소였던 것 같다. 그에게 땅은 먼저 현실에서 발을 딛고 있는 땅과 과거 예기치 못하게 맞닥뜨린 비극의 죽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모든 만물이 회귀하는 장소로서의 땅과 미래의 죽음을 뜻한다. 그리고 마지막은,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과 자연을 닮아 있는 윤형근의 그림을 일컫는다바로 이러한 땅의 흔적들, 윤형근이 남긴 삶과 예술의 흔적으로서의 예술을 전시명흙갈피 Umber mark는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나는 지금도 잘 모른다.

그저 생명이 연소된 흔적과 같은 것은 아닐까 싶다.(공방단상 中)

 

과거 예상치 못한 죽음의 문턱 앞에서 다시 삶으로 회귀한 윤형근. 연장된 삶 위에서 출발했던 그의 예술은 과거이자 미래가 된 죽음과 떼어 놓고 볼 수 없을 것이다. 윤형근의 그림은 삶의 현상 이면에 도사린 비극을 직면하고, 이를 자연의 섭리로 수용하고, 또 자연의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킨 예술이다.  

그의 그림은 그래서 영원히 슬픔에 머무르지 않는다 . 오히려 우리의 애통한 마음을 다독이고 위로하기까지 한다

윤형근의 그림은 영원한 슬픔 대신 진정한 희락이 있는 아름다움을 체험케 하는, 그런 깊은 승화의 예술인 것이다.

 

감동이란 인간사 희비애락(喜悲哀樂)과 같다.

()는 곧 차원을 뒤집으면 비()가 아닌가?

즉 가장 아름다운 것은 희()요 곧 비()이다.

그래서 예술은, 가장 아름다운 예술은 슬픈가보다.

그래서 가장 슬프면 눈물이 나고 가장 기뻐도 눈물이 나오게 마련인가보다.”(1980)



Yun Hyong-keun’s painting does not recreate or decorate a subject. It simply seems like a trace of soaked brush stroked across the canvas. The indistinguishable yet distinguishable brush strokes are the result of Yun’s repetition of applying and drying paint mixed with terebene or linseed oil.

 

Yun’s style of artwork can be explained in three ways. First is the abstract surface of the early 70s. Then there is the style of “gate of heaven and earth” in the 70-80s, where two or three streaks of lines are bled into the canva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paint. Finally, he diminished the bleeding of the pillars and layered more paint until it reached black in the 90s.

 

Yun’s consistent figurative language became an important visual element that not only represents the artist’s unique style of technique but also implies the artist’s life

 

Like other artists, Yun also painted his reality onto the canvas.

 

Yun (1928-2007) was born in Cheongju,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spent his youth in tumultuous times of modern Korea, go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He studi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47 but was expelled after imprisonment for being part of the student movement.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he was almost executed by the broadcasting association because he was part of a protest when he was a student. In 1956, he served six months in Seodaemun Prison because he was unable to flee and was forced to work for the North Korean Army during the war. In 1973, while he was teaching at Sookmyung Girls’ High School, he was arrested for violating the Anti-Communist Act because he raised the issue of the illicit admission of a student, which was supported by the head of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Serving several terms in prison and having his life on the verge of death led Yun to express his angst on the canvas.

 

“After I left the prison, I got rid of all the paintings and was determined. This is why my paintings changed since 1973.

At first, it was painted in primary color but it became black the more I layered it, I wanted it to be pitch black, so I mixed ultramarine and burnt umber with water and painted it dark.”

 

“There may be a void of youth in my art.

The biggest problem was running away, being chased, and surviving in fear and anxiety.”

 

"My paintings are far from colorful.

The point in life is to live in the right direction.

My art implies such experience.

Just like how people go through changes in emotions from their experiences as they age, I believe my paintings change like so.

That’s why paintings can be seen as a trace of life’s experience." (2003)

 

Yun used yellow hemp cloth as a base instead of white canvas, and painted umber and ultramarine-blue on the cloth, naming them the colors of the earth and heaven. He placed the cloth on the floor of his studio and repeatedly layered paint from top to bottom as if he were releasing his angst. The wet brushstrokes from his painting are like a painful cry, the haziness is like his weeping, and the black strokes that fill the canvas are like the silence after liberating from the agony.

 

The traces of Yun Hyong-keun’s brushstrokes show the traces of his life. He resisted the difficult reality through his paintings and mourned his pain and sorrow. He was able to overcome such hardships by keeping himself close to nature.

 

“It was fifteen or sixteen years ago. I climbed Mount Odaesan.

The deciduous mountain was a dreary sight.

I found a giant tree rotting away across the hill.

I stood there for a long time captivated by how the root turned into the soil. The sublimity of nature.

That was when I was inspired by the mystery and provision of nature.” (1986)

 

Yun Hyong-keun experienced the mysteriousness and spiritual enlightenment of nature by witnessing the natural order of rooted trees returning to the earth. He implemented this natural order to build his life and art.

 

Yun Hyong-keun mentioned that he wanted his paintings to blend into the earth. The works from the 90s deliver the core message of his art returning to earth.

 

“Although my paintings are humble, I want to hang them

on a dirt wall.

I want to create something that is harmonized with the dirt wall.

No matter how long time goes by, the beauty of earth, trees, and stones will last forever.” (1990)

 

In Yun Hyong-keun’s later work, the flame-like pillars simmered down on the canvas. The brushstrokes filled with anger and the composition of gates of heaven and earth died down. He was left with refined black pillars on the hemp cloth. The naturally seeped black pillars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heaven and earth. The paint and canvas became one like a serene horizon.

 

Like the tree from Mount Odaesan returning to the soil after death, Yun Hyong-keun’s later works are left with divinity after transcending impurities like agony and sadness. Such formative language is the result of depicting the final stage of his life.

Yun Hyong-keun’s paintings enter the realm of earth that gives the final impression of a beginning and an end, a birth, and a death.

 

Yun Hyong-keun mentioned “I paint a sharp cry without any small talk” while Kim Whanki’s paintings are “poetic and delicate”. Hence, it can be implied that Yun’s life and art are rooted in the ground rather than the sky.

 

To Yun, the earth was physically and mentally in multiple locations. First, the earth can be the ground where he can set his foot but also symbolize the unexpected encounter with death. Earth is also the symbol of a realm where everything returns back to and implies death in the future. Lastly, it symbolizes the beauty of nature and its resemblance to Yun Hyong-keun’s nature-like paintings. Hence, the name of the exhibition, Umbermark, connotes not only the physical traces of land but also the traces of Yun Hyong-keun’s life and art.

 

What on earth is a painting? I have yet to find the answers.

It may be something of a vestige for my consumed life.

(Excerpt from A Stray Thought at a Studio)

 

Yun Hyong-keun is a man who came back to life on verge of unexpected death. He began to express himself through art in his prolonged life and thus his theme of art cannot be apart from death that existed in the past and will face in the future. Yun Hyong-keun’s paintings confront the agony lurking behind life, accept it as a way of nature, and sublimate it into the beauty of nature. Therefore, his paintings never remain in sorrow. Instead, it touches and comforts the viewer’s grieving heart. Yun Hyong-keun’s painting is the art of sublimation that allows viewer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joy and pleasure rather than eternal sadness.

 

When we get emotional, it’s because we’re feeling all emotions at once: joy, sorrow, grief, and happiness.

Sorrow is the inverse of joy. In other words, the ultimate beauty is joy and sorrow, simultaneously.

That’s why art-especially the most beautiful art – is always sad.

Maybe that’s why our saddest moments and happiest moments both bring tears to our eyes. (1980)

 

 

Written by Sohee Lim

Translated by Hyewon Kwon